반응형
[임신 5개월 기록 및 증상]
...
12주를 끝으로 한 달 만에 병원에 방문했다.
병원에 가지 않은 14주 때에는 입덧도 좋아지고 입맛도 살짝 돌아와서 남편과 호캉스도 다녀왔다.
최상의 컨디션으로 호텔을 즐길 수는 없었지만 남편이 애지중지 잘 챙겨줘서 기분 좋게 쉬다 올 수 있었다.
증상
16주가 되자 입덧이 완전히 사라졌다.
입덧이 사라지면 식욕이 왕성해진다고 하는데 아직 그런 증상은 없었다.
2차 기형아 검사로 피검사를 진행했고 선생님이 초음파로 꼼꼼히 토리를 봐주셨다.
눈, 코, 입이 보이는데 무서운 얼굴을 하고 있어서 깜짝 놀랐다.
이 시기에는 태아의 얼굴이 아직 무서울 때라고 선생님이 설명해주셨다.
중기가 되자 배가 좀 불편할 때가 많아졌지만 수면 사이클도 어느 정도 돌아오고 낮잠 시간도 줄어들었다. 무엇보다 밥 양도 늘어나고 고기도 조금씩 먹기 시작한 게 가장 큰 변화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잘 먹던 고기 대신 김치를 피하기 시작했다.
TIp
2차 기형아 검사
2차 기형아 검사는 피검사로 16주 전후에 받는다. 날맘은 딱 16주에 받음.
피검사 방법 중 가장 흔히 하는 검사가 쿼드 검사이고 여기서 분석 항목을 추가해 정확도를 높인 검사가 인터그레이티드 검사이다. 쿼드 검사는 피를 한 번만 뽑으면 되지만 인터그레이티브 검사는 1, 2차 총 두 번 피를 뽑아 검사한다.
검사 결과는 일주일 정도 뒤에 알 수 있으며 쿼드 검사의 경우 정상 비정상을 판단하는 기준이 270:1이다.
(ex. 수치가 55 : 1이라면 기형이 있을 확률이 55분 1 이므로 고위험군에 속함)
여기서 고위험군 판정을 받게 되면 병원에서 확진을 위해 양수 검사를 권할 수 있다. 필수는 아니고 부작용 우려가 있어 검사 여부는 임산부가 결정한다.
반응형
'죠죠일기 > 임신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7개월 기록 및 증상 - 백일해 접종 / 임당검사 (0) | 2022.05.26 |
---|---|
임신 6개월 기록 및 증상 (0) | 2022.05.25 |
임신 11.12주 기록 및 증상 (0) | 2022.05.23 |
임신 9.10주 기록 및 증상 (0) | 2022.05.20 |
임신 7.8주 기록 및 증상 (0) | 2022.05.18 |